스타워즈는 단지 블록버스터 영화 프랜차이즈를 넘어 문화적 기준이 되고 세대를 이어 현대 신화가 되는, 미국 문화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위는 고전 신화와 명백한 미국적인 가치를 매끄럽게 융합하여 미국인들에게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야기가 되었기 때문인데요. 오늘 포스팅에선 5월 4일(May the fourth) 스타워즈 데이를 기념하며, 스타워즈가 어떻게 미국의 신화로 자리 잡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합니다.
스타워즈의 핵심은 시대를 초월한 영웅의 여정에 있는데, 이는 전 세계 신화에 어디에서도 볼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 구조입니다. 스타워즈의 창시자인 조지 루카스는 조지프 캠벨의 원질신화를 의식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을 변화시키는 혹은 변해가는 퀘스트에 착수하는 영웅의 전형적인 패턴을 따르는 이야기를 만들었습니다. 클래식 3부작에서는 루크 스카이워커가 프리퀄 3부작에서는 아나킨 스카이워커가 대표적이죠.
Amazon
Illustration of the hero’s journey – Wikipedia
그러나 스타워즈를 차별화하고 "미국 신화"라는 칭호를 얻은데에는 미국의 독특한 문화적 영향을 주입한 결과물이기 때문입니다. 스페이스 웨스턴의 미학에서 투박한 개인주의와 개척 정신에 대한 찬사에 이르기까지, 스타워즈는 미국의 정신을 반영합니다. 억압적인 은하 제국에 대항한 반란군 연합의 투쟁은 자유, 민주주의 및 폭정에 대한 저항이라는 미국의 기본 가치를 활용하여 미국 독립 전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Lucas Film | Disney
게다가 스타워즈는 세대를 넘어서는 팬들을 통합하는 문화적 현상이 되었습니다. 그 확장적인 우주, 풍부한 신화, 그리고 보편적인 주제는 40년 이상에 걸쳐 관객들을 사로잡아 왔으며, 여러 세대에 걸친 공유 경험을 제공합니다.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스타워즈에 대한 사랑을 전하며, 미국 대중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AFP
스타워즈의 문화적 영향은 엔터테인먼트의 영역을 넘어섭니다. 작품의 상징적인 캐릭터들, 기억에 남는 대사, 그리고 아이코닉한 이미지들은 언어, 패션, 심지어 영적인 면에까지 미국 사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May the Force he with you”와 같은 구절은 좋은 의지와 격려의 표현으로 자리잡았으며, 요다와 다스 베이더 같은 캐릭터들은 선과 악의 심벌로 자리잡았습니다..
또한 스타워즈는 책, 만화책,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을 포함한 스핀오프들의 번영적인 생태계를 일으켜, 그 신화를 확장시키고 팬들에게 그 우주를 심도 있게 탐험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이렇게 다양하게 즐길수 있게 된 콘텐츠의 확산은 스타워즈가 현대 신화로서의 지위를 더욱 굳건히 하는데 일조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타워즈는 고전적인 신화와 미국의 독특한 문화적 영향을 완벽하게 접목하여, 여러 세대에 걸쳐 관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현대 신화로서, 스타워즈는 보편적인 주제를 구현하면서 미국 문화의 가치와 정신을 반영하여, 미국문화 유산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게 된 것입니다. 현재까지도 스타워즈는 변화를 모색하며 어쩌면 조금은 떨어진 위상을 다시 일으켜 세울 기회를 노리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시퀄 3부작을 좋아하지 않지만, 매년 이맘때즈음엔 기분에 따라 스타워즈 한 편을 보는데요. 각자만의 방법으로 스타워즈를 즐기시길 바라며, 포스가 함께하기를.
5.
8.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