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보기
[1] 2년 반 전에 처음 발병했다. 대부분 병이 그렇듯 나에게 예고없이 찾아왔다. 첫 증상은 기압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귀 먹먹함이 오른쪽 귀에서만 생겼는데, 이게 당최 풀리지 않았다. 왜그렇지 하고 그날은 그냥 지나갔던 것 같다.
[2] 다음날, 오랜만에 술자리에서 만난 형으로부터 귀에 문제가 생기는건 가능한 빨리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고 들었다. 저녁이라 병원에 갈 수 없었고, 다음날 오전에 회사 출근 전 근처 이비인후과에 갔다.
[3] 메니에르 증후군 으로 의심된다는 소견을 받았다. 우선 '증후군' 이라는 단어에 당황했다. 원인이 불명확하고, 치료법도 불명확하다는 것으로만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 처음으로 스테로이제, 이뇨제를 처방받았다. 스테로이드제를 의식하고 처방받은 적은 처음이었다. 선생님께서 나머지 설명을 해주셨는데 가볍게 말씀하셔서 새겨듣지는 않았다.
[4] 투약 후 하루 정도만에 귀 먹먹함이 사라졌다. 약은 일주일치를 처방받았지만 3일 정도 투약하고 더이상 증상이 없어 약을 먹진 않았다. 이게 지옥문 급행열차일거라곤 생각하지 못했지.
[5] 갑작스럽게 어지럼증이 찾아왔다. 과음 후 다음날에도 술이 깨지 않고 세상이 핑핑 돌면서 속이 메슥거리는 증상이 하루종일 이어졌고, 일상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왠만한건 참고 다 하는 성격인데 하루종일 토했다. 먹은것도 없는데 단순히 어지럽다는 이유 만으로 .. 약은 이미 버리고 없었다. 급한대로 멀미약을 먹었지만, 크게 듣지 않았다. 참는 수 밖엔 없었다.

진짜 뒤질 것 같은 메슥거림이다.. 생각도 하기 싫다 / 출처 : https://steemit.com/kr/@uchaanp/tip
[6] 다음날 병원에 누구보다 빨리 갔다. 선생님께선 증상과 재발 주기를 여쭤보셨다. 메니에르 증후군이라고 이번엔 확실히 말씀주셨다. 청력 검사를 진행해야 하고 시간이 꽤 걸릴 수 있다고 하셨다. 급하게 반차를 내고 청력검사를 진행했다.
[7] 오른쪽 귀의 고주파대역 청력이 좌측에 비해 떨어져 있었다. 소리에서 공간감이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에 검사 전에 스스로 느낄 수 있을 정도였고, 소리의 공간감이 느껴지지 않으니, 어느 방향에서 소리가 나는지 알 수 없었고 일상 생활에도 불편함이 따랐다. 하지만 그걸 다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어지럼증이 심했다. 선생님께서 메니에르 증후군에 대해서 다시 설명해주셨다. 내림프 수종에 의한 질병(쉽게 말해서, 귀의 감각 기관에 알 수 없는 이유로 물이 차는 질병) 으로 이명, 돌발성 난청, 회전감각 상실 로 증상 발현, 지속될 경우 영구적인 청력 손실 혹은 청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셨다. 이 때 알았다. ㅈ댓단걸... 지난번 술자리에서 만난 친한 형이 대학교 때 한쪽 귀가 들리지 않게 되었고, 그래서 나에게 빨리 병원에 가보라고 했단걸 그제서야 이해했다.
[B] 메니에르 증후군